[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월가의 구루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애플 지분을 축소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른바 ‘애플 쇼크’에 한 발 물러선 셈.
과거 닷컴 버블 당시 파죽지세로 올랐던 IT 종목을 외면했던 버핏의 2017년 첫 애플 주식 매입은 월가의 뜨거운 감자였다.
애플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15일(현지시각)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버크셔는 지난해 4분기 애플 주식을 300만주 가까이 매도했다.
보유 지분을 1% 축소한 것. 이에 따라 버크셔가 보유한 애플 주식은 2억4950만주로 줄어들었다.
버핏이 애플 매입 사실을 처음 공식 발표한 것은 지난 2017년 2월이다. 같은 해 말 버크셔의 애플 보유 물량은 1억6530만주로 늘어났고, 이후에도 버크셔는 적극적인 매입을 지속했다.
최근까지도 집무실 책상에 컴퓨터를 두지 않을 뿐 아니라 스마트폰 시대에 구형 플립폰 사용을 고집하는 그가 애플에 투자를 단행한 것은 예상 밖이었다.
버크셔의 애플 매입을 놓고 투자자들 사이에 다양한 해석이 쏟아지자 버핏은 CNBC와 인터뷰에서 5% 가량의 지분을 확보했지만 100%를 갖고 싶은 주식이라며 강한 기대감을 내비친 바 있다.
2년 전 버핏의 행보가 뜨거운 화제를 모았던 것은 IT 성장주에 좀처럼 ‘입질’을 하지 않는 그의 투자 성향 이외에도 애플을 둘러싼 잿빛 전망이 고조됐던 시기적인 특성 때문이었다.
스마트폰 성장 둔화에 대한 경고가 당시부터 월가의 투자은행(IB) 업계에 번지기 시작했고, 경고는 현실화됐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속에 지난해 4분기 중국 아이폰 판매가 20% 급감한 한편 시장 점유율은 11.5%를 기록해 4위로 밀렸다.
주력 비즈니스가 휘청거리는 가운데 같은 기간 애플은 10년만에 처음으로 매출액과 순이익의 동반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아이폰 사업 부문의 매출액이 15% 급감했다.
지난해 5월 애플의 시가총액 1조달러 돌파에 힘을 실었던 버크셔의 최근 매도는 펀더멘털의 흠집에 대한 실망감으로 풀이된다.
또 애플을 IT 성장 기업이 아닌 소비재 종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버핏의 투자 논리가 설득력을 다소 잃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편 로이터에 따르면 헤지펀드 업체인 자나 파트너스도 4분기 애플 주식을 17만5000주 매도해 전체 보유 물량의 63%를 팔아치웠고, 소로스 펀드 매니지먼트와 아팔루사 매니지먼트는 애플 주식을 전량 매각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