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8마감체크] 국내증시, 외국인 순매수에 상승... 3거래일 연속 상승

입력: 2025- 05- 08- 오후 05:40
© Reuters.  [0508마감체크] 국내증시, 외국인 순매수에 상승... 3거래일 연속 상승

사진=픽사베이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

▶마감체크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0.22% 상승한 2579.48에 마감했다.

지난밤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협상 기대 및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차익매물 출회 등에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581.27로 상승 출발했다. 오전중 상승폭을 줄여 2575.78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이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후 들어 2590.9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반납했고, 결국 2579.48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옵션만기일을 맞은 가운데 미국 FOMC 금리 동결 소화 및 기업실적 발표에 따른 움직임 등이 나타났고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이 이틀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지난밤 미국 FOMC 결과 Fed는 예상대로 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했다. 이는 올해 1월과 3월에 이은 3회 연속 동결 조치다. Fed는 정책결정문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며, "위원회는 (물가 안정, 완전 고용) 이중 책무의 양쪽 위험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고 있고 실업률 상승과 인플레이션 위험이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관세 정책으로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둔화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우려했다.

FOMC 직후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의 범위와 규모를 고려할 때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 위험이 확실히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내 직감상 향후 경제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도로 높아졌다.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당분간’ 명확성이 커질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며, 올해 금리인하가 있을지 확실히 답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전임 바이든 정부 당시 마련된 ‘AI 확산 프레임워크’를 철회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미국 상무부 대변인은 "바이든의 AI 규칙은 과도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라면서 "이것은 대체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번 조치는 AI 칩 수출 통제가 완화하는 조치로 해석되면서 AI 산업에 호재로 인식했다. 삼성전자 (KS:005930)(0.00%), SK하이닉스 (KS:000660)(-0.26%) 등 반도체 대표주가 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 탄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에이피알(+28.80%), 씨에스윈드(+10.87%), LIG넥스원(+10.70%) 등이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했다. 반면, 애플 (NASDAQ:AAPL) 부사장, 기존 검색 엔진 AI로 대체 언급 속 알파벳A(-7.26%) 주가 급락 및 카카오 (KS:035720) 실적 부진 등에 NAVER(-5.22%), 카카오(-3.52%) 등 인터넷 대표주가 하락했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홍콩이 상승, 대만은 하락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304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9억, 1718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2108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8억, 1841억 순매도했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96.6원으로 전거래일대비 2.6원 상승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8bp 상승한 2.281%, 10년물은 전일 대비 1.9bp 상승한 2.622%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9틱 내린 107.81 마감했다.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4329계약, 3041계약 순매도했다. 금융투자는 3770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0틱 내린 120.76 마감했다. 투신과 은행이 각각 2404계약, 2374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외국인은 각각 5400계약, 896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했다. NAVER(-5.22%), 하나금융지주(-0.92%), 삼성물산(-0.8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79%), 메리츠금융지주(-0.65%), 셀트리온 (KS:068270)(-0.56%),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48%), 신한지주(-0.39%), 기아(-0.34%), 현대차 (KS:005380)(-0.27%), SK하이닉스(-0.26%) 등이 하락했다. 반면, HD한국조선해양(+2.50%), LG에너지솔루션(+1.55%), HD현대중공업(+1.44%), KB금융 (KS:105560)(+0.96%), 현대모비스(+0.39%), 삼성화재(+0.27%) 등은 상승했다. 삼성전자, POSCO홀딩스는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상승이 다소 우세했다. 금속(+2.37%), 화학(+2.03%), 일반서비스(+1.79%), 의료/정밀기기(+1.71%), 음식료/담배(+1.15%), 비금속(+0.83%), 기계/장비(+0.77%), 증권(+0.66%), 제조(+0.50%), 부동산(+0.44%), 전기/전자(+0.34%), 금융(+0.16%), 오락/문화(+0.05%) 등이 상승했다. 반면, IT 서비스(-2.36%), 운송/창고(-1.15%), 건설(-1.00%), 전기/가스(-0.79%), 통신(-0.74%), 섬유/의류(-0.57%), 제약(-0.20%), 종이/목재(-0.14%), 유통(-0.12%)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0.94% 상승한 0.94% 729.59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725.81로 상승 출발했다. 시가를 저점으로 오전 한때 729선까지 상승폭을 키우기도 했으나 이후 725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다.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확대했고 730.7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729.59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 FOMC 금리 동결 소화 및 개별기업 실적 발표에 따른 주가 움직임이 나타난 가운데, 외국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이 3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이재명 후보,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하향 조정 등 어르신 공약 발표 등에 메타바이오메드(+24.27%), 한국피아이엠(+18.56%), 레이(+6.21%), 덴티스(+6.21%)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가 상승했다. 노보 노디스크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블루엠텍(+29.98%), 큐라티스(+20.95%), 라파스(+8.12%), 한국비엔씨(+5.85%), 디앤디파마텍(+5.02%), 펩트론(+4.72%) 등 비만치료제 테마도 상승했다. 미국 AI 반도체 수출 통제 철회 추진 소식 등에 리노공업(+1.09%), 파크시스템스(+9.88%), 이오테크닉스(+1.97%), 원익IPS(+1.97%), ISC(+3.24%) 등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했다. 금일 신규 상장한 나우로보틱스(+126.47%)도 급등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78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16억, 410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실리콘투 (KQ:257720)(+11.32%), 클래시스(+6.16%), 펩트론(+4.72%), 파마리서치(+3.55%), 에코프로비엠 (KQ:247540)(+3.18%), 휴젤(+2.37%), 삼천당제약(+2.18%), 리노공업(+1.09%), JYP Ent.(+1.01%), 코오롱티슈진(+0.67%), 레인보우로보틱스(+0.53%), 에코프로(+0.52%) 등이 상승했다. 반면, HLB (KQ:028300)(-3.06%), 에스엠(-2.39%), 알테오젠 (KQ:196170)(-1.12%), 펄어비스(-0.41%), 리가켐바이오(-0.30%), 셀트리온제약(-0.21%) 등은 하락했다. HPSP는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했다. 의료/정밀기기(+3.50%), 유통(+3.22%), 화학(+1.53%), 건설(+1.47%), 기술성장기업(+1.42%), 전기/전자(+1.23%), 제조(+1.20%), 기계/장비(+1.09%), 제약(+0.95%), 출판/매체복제(+0.89%), 기타제조(+0.48%), IT 서비스(+0.46%), 운송장비/부품(+0.24%), 음식료/담배(+0.19%) 등이 상승했다. 반면, 통신(-0.86%), 오락/문화(-0.51%), 섬유/의류(-0.41%), 비금속(-0.24%), 운송/창고(-0.11%), 금속(-0.03%) 등은 하락했다.

▶섹터분석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직속 기후위기대응위원회 공식 출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직속 ‘기후위기대응위원회(기후위)’가 전일 오후 공식 출범했다. 기후위는 국회에서 공식 출범 기자회견을 열어 ‘탄소중립, 미래 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슬로건을 발표하고 위원회 명단을 공개했다. 기후위는 상임공동위원장으로 임명된 위성곤 의원과 위진 전 지에스(GS)풍력 사업본부장을 중심으로, 정치인·기후운동가·교수·기업인 등 400여명 규모로 꾸려졌다. 기후위는 “탄소중립 달성과 탈탄소 기후경제로의 전환을 위해선 이 후보로의 압도적 정권 교체가 유일한 방법”이라며 기후위기 관련 대선 공약을 준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 속 에코아이, 에어레인, 그린케미칼, 유니드 등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가 상승. 특히, 에코아이는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 노보 노디스크 1분기 호실적

비만 치료제 ’위고비’로 알려진 노보 노디스크가 1분기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을 기록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7일(현지시간) 1분기 순이익이 290억3,000만 덴마크 크로네(약 4조원)로, 시장 예상치(약 3조7700억원)를 상회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780억8,700만 덴마크 크로네(약 10조6,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해 시장 예상치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위고비의 1분기 매출은 고정 환율 기준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한 173억6,000만 덴마크 크로네(약 2조3,600억원)를 기록했지만, 시장 예상치였던 185억1,000만 크로네(약 2조5,150억원)에는 못 미쳤다. 다만, 라스 푸르에가드 요르겐센 요르겐센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달부터 복제약 판매 금지가 시행되면 미국에서 체중감량제 ‘위고비’(Wegovy) 판매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소식 속 블루엠텍, 큐라티스, 라파스, 대화제약, 한국비엔씨, 대봉엘에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특히, 블루엠텍은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신고가 한 줄 분석

■ 에코아이(448280)(+30.00%) -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 상승 속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 1만3390원

■ 에이피알(278470)(+28.80%) - 화장품/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 9만9300원

■ 메타바이오메드(059210)(+24.27%) -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의료용 생체 재료 쇼티지 속 실적 성장 기대감 / 6020원

■ 큐라티스(348080)(+20.95%) -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최대주주 인벤티지랩, 먹는 비만약 효과 지속기간 연장 모멘텀 지속 / 1993원

■ LIG넥스원(079550)(+10.70%)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 41만9500원

■ 에스앤디(260970)(+10.06%) - 불닭 소스 매출 증가세 지속에 따른 1분기 호실적 전망 / 10만1000원

■ 펌텍코리아(251970)(+7.17%) - 中 시장 회복,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및 주요 화장품 업체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 6만1500원

■ 클래시스(214150)(+6.16%) - 화장품/ 미용기기 및 의료기기 테마 상승 / 7만2900원

■ 슈프리마(236200)(+5.62%) - AI 안면인식 올해 매출 비중 50% 상회 기대감 지속 / 3만4750원

■ 한국콜마(161890)(+5.43%) - 中 시장 회복,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및 주요 화장품 업체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 7만9800원

■ 파마리서치(214450)(+3.55%) - 화장품/ 미용기기 및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기대감 지속 / 40만3000원

■ 오리온홀딩스(001800)(+3.40%) - 8,300억원 규모 대규모 투자로 기업가치 상승 기대감 지속 / 1만9530원

■ 코스맥스비티아이(044820)(+3.19%) - 서성석 회장, 동사 주식 장내매수 모멘텀 지속 / 1만1700원

■ HD현대마린엔진(071970)(+2.79%) - 1분기 양호한 실적 달성 모멘텀 지속 및 두산에너빌리티와 국내 가스터빈 공급망 강화 추진 기대감 지속 / 3만9500원

■ HD한국조선해양(009540)(+2.50%)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달성 모멘텀 지속 / 28만9000원

■ 노바렉스(KQ:194700)(+2.39%) - 중국향 건기식 수출이 견인할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 1만1920원

■ 휴젤(145020)(+2.37%) -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 37만5000원

■ 한국카본(017960)(+2.23%) - 생산 라인 증설로 중국 납품 물량 확대 기대감 지속 / 2만1100원

■ 인카금융서비스(211050)(+1.72%) - 대형 GA 중심 신계약 시장 활황 지속 속 설계사 조직 확대 지속 부각 / 9100원

■ 삼현(437730)(+1.67%)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국내 주요 방산기업에 육·해·공 전방위 무기체계 관련 핵심부품 독점 공급 모멘텀 지속 / 1만6800원

■ HD현대미포(010620)(+1.45%) - 실적/수주 개선 기대감 지속 / 17만7500원

■ HD현대중공업(329180)(+1.44%) - 약 33조원 규모 캐나다 잠수함 프로젝트 참여 모멘텀 지속 / 43만1500원

■ 한화시스템(272210)(+1.34%) - LIG넥스원, 1분기 호실적 및 인도-파키스탄 긴장감 고조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4만6100원

■ 코텍(052330)(+1.03%) - 1분기 실적 호조 / 1만850원

■ LG유플러스(032640)(+0.97%)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반사수혜 기대감 지속 및 1분기 실적 호조 / 1만2530원

■ 안트로젠(065660)(+0.85%) - 범부처재생의료사업단서 약 26억 연구비 지원 모멘텀 지속 / 2만4300원

■ 현대엘리베이터(017800)(+0.67%) - 건설기계 포트폴리오 내 방어주 분석 모멘텀 지속 및 한국경총 노사협력대상 우수상 수상 소식 / 7만6900원

■ 롯데관광개발(032350)(+0.46%) - 4월 역대 최대실적 기록 모멘텀 지속 / 1만1000원

■ 하이브(352820)(+0.19%) - 글로벌 사업 본격화 기대감 / 27만1500원

■ 비에이치아이(083650)(+0.16%)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및 수주 증가 기대감 지속 / 3만1400원

▶주요공시

■ 알파녹스(04310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카트(해당사항 없음) 등 대상으로 577,367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732원, 상장예정:2025-06-02)

■ 넥써쓰(205500) - 주식회사 하이브아이엠과 체결한 3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2.09%) 규모 공급계약(던전스토커즈 퍼블리싱 계약) 해지(계약기간:2024-02-07~2025-05-07)

■ 스카이라이프(05321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695.97억원(전년동기대비 -4.65%), 영업이익 131.52억원(전년동기대비 +1.46%), 순이익 92.84억원(전년동기대비 -63.41%).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428.81억원(전년동기대비 -4.52%), 영업이익 51.07억원(전년동기대비 +78.00%), 순이익 16.24억원(전년동기대비 +28.27%)

■ 카카오(0357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6조원(전년동기대비 -6.26%), 영업이익 1,054.01억원(전년동기대비 -12.38%), 순이익 1,909.31억원(전년동기대비 +182.12%).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6,617.38억원(전년동기대비 +3.32%), 영업이익 1,039.26억원(전년동기대비 -24.54%), 순이익 801.49억원(전년동기대비 -39.36%)

■ 코오롱ENP(13849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38.72억원(전년동기대비 +0.65%), 영업이익 128.42억원(전년동기대비 +22.31%), 순이익 121.45억원(전년동기대비 +26.11%)

■ 가온그룹(07889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72.79억원(전년동기대비 +9.37%), 영업이익 4.4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2.6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LS마린솔루션(06037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44.80억원(전년동기대비 +225.24%), 영업이익 30.1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6.8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미래에셋증권(0068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05조원(전년동기대비 -3.60%), 영업이익 3,461.85억원(전년동기대비 +27.99%), 순이익 2,582.26억원(전년동기대비 +53.10%)

■ 바디텍메드(2066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1.01억원(전년동기대비 +18.14%), 영업이익 80.80억원(전년동기대비 +36.94%), 순이익 72.59억원(전년동기대비 +10.97%)

■ 에이피알(27847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660.33억원(전년동기대비 +78.63%), 영업이익 545.68억원(전년동기대비 +96.53%), 순이익 499.41억원(전년동기대비 +107.28%)

■ LG헬로비전(0375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135.17억원(전년동기대비 +17.33%), 영업이익 71.15억원(전년동기대비 +73.11%), 순이익 29.76억원(전년동기대비 +93.37%)

■ 데브시스터즈(19448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90.83억원(전년동기대비 +49.71%), 영업이익 94.08억원(전년동기대비 +15.57%), 순이익 101.58억원(전년동기대비 +6.51%)

■ 아이쓰리시스템(21443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81.07억원(전년동기대비 +20.20%), 영업이익 57.89억원(전년동기대비 +42.16%), 순이익 50.13억원(전년동기대비 +25.04%)

■ 헥토파이낸셜(2343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59.90억원(전년동기대비 +24.04%), 영업이익 36.57억원(전년동기대비 -9.43%), 순이익 32.31억원(전년동기대비 +2.60%).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09.65억원(전년동기대비 +21.30%), 영업이익 44.05억원(전년동기대비 -3.46%), 순이익 41.04억원(전년동기대비 -9.36%)

■ LG유플러스(03264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44조원(전년동기대비 +3.60%), 영업이익 2,607.00억원(전년동기대비 +17.85%), 순이익 1,738.00억원(전년동기대비 +28.45%).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74조원(전년동기대비 +4.78%), 영업이익 2,554.00억원(전년동기대비 +15.61%), 순이익 1,625.00억원(전년동기대비 +24.61%)

■ 아비코전자(03601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14.22억원(전년동기대비 +6.16%), 영업이익 9.3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9.2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KG모빌리언스(0464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12.45억원(전년동기대비 -25.38%), 영업이익 77.07억원(전년동기대비 -19.96%), 순이익 60.10억원(전년동기대비 -32.80%)

■ 대교(01968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657.00억원(전년동기대비 +0.12%), 영업이익 9.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00억원(전년동기대비 -98.50%)

■ 동남합성(023450) - 보통주 20,000주(6.61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09~2025-08-08)

■ LIG넥스원(0795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076.00억원(전년동기대비 +18.87%), 영업이익 1,136.00억원(전년동기대비 +69.55%), 순이익 828.00억원(전년동기대비 +36.63%)

■ 현대이지웰(0908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29.43억원(전년동기대비 +14.60%), 영업이익 85.15억원(전년동기대비 +12.49%), 순이익 74.39억원(전년동기대비 +11.39%). 보통주 712,391주(39.68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09~2025-08-08). 기업가치 제고 계획(’28년 內 PBR 1.5배 달성 목표, ’28년 內 ROE(EBITDA 기준) 25% 상향 목표, 별도 영업이익 20% 이상 배당 등)

■ 코텍(0523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43.34억원(전년동기대비 +17.33%), 영업이익 106.73억원(전년동기대비 +209.00%), 순이익 89.56억원(전년동기대비 +45.76%)

■ 씨에스윈드(11261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019.05억원(전년동기대비 +22.42%), 영업이익 1,252.1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954.6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레드캡투어(03839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52.53억원(전년동기대비 +11.75%), 영업이익 178.59억원(전년동기대비 +37.06%), 순이익 105.66억원(전년동기대비 +67.79%)

■ KZ정밀(03656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17.15억원(전년동기대비 -31.80%), 영업이익 19.09억원(전년동기대비 -73.58%), 순이익 26.48억원(전년동기대비 -69.68%)

■ CJ ENM(KQ:0357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3조원(전년동기대비 -1.37%), 영업이익 7.05억원(전년동기대비 -94.28%), 순손실 821.6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한온시스템(01888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61조원(전년동기대비 +8.86%), 영업이익 209.20억원(전년동기대비 -68.48%), 순손실 225.9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유틸렉스(263050) - 국민건강보험공단과 13.6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35%) 규모 공급계약(2025년 정보시스템 기능개선 사업) 체결(계약기간:2025-05-07~2026-02-01)

■ 현대리바트(0794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377.60억원(전년동기대비 -13.27%), 영업이익 95.12억원(전년동기대비 +39.90%), 순이익 65.56억원(전년동기대비 +39.96%)

■ 제이앤티씨(204270) - 주식회사 코메트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07-15)

■ 동진쎄미켐(00529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681.08억원(전년동기대비 +10.54%), 영업이익 584.61억원(전년동기대비 +24.22%), 순이익 361.13억원(전년동기대비 -1.24%)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38.00억원(전년동기대비 -30.33%), 영업이익 42.74억원(전년동기대비 -80.14%), 순이익 23.66억원(전년동기대비 -88.28%)

■ 토비스(05136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37.58억원(전년동기대비 +10.46%), 영업이익 120.64억원(전년동기대비 +19.23%), 순이익 91.39억원(전년동기대비 -25.21%)

■ 지누스(01389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499.28억원(전년동기대비 +64.16%), 영업이익 275.0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86.5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현대그린푸드(4533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706.00억원(전년동기대비 +1.98%), 영업이익 322.00억원(전년동기대비 +3.20%), 순이익 264.00억원(전년동기대비 +8.19%). 보통주 165,016주(25.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5-09~2025-08-08). 보통주 337,666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8-29)

■ 유한양행(00010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694.12억원(전년동기대비 +8.37%), 영업이익 86.45억원(전년동기대비 +40.75%), 순이익 393.31억원(전년동기대비 +8.14%)

■ 케이엔더블유(1053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95.96억원(전년동기대비 +9.70%), 영업손실 10.6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4.0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하이록코리아(0130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90.35억원(전년동기대비 -1.48%), 영업이익 127.03억원(전년동기대비 -17.47%), 순이익 115.44억원(전년동기대비 -24.29%)

■ 테라젠이텍스(0667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71.87억원(전년동기대비 +14.28%), 영업이익 45.01억원(전년동기대비 +34.03%), 순손실 24.7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31.78억원(전년동기대비 +18.32%), 영업이익 47.87억원(전년동기대비 +35.99%), 순손실 17.1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 자회사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보통주 337,666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8-29)

■ LG(0035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93조원(전년동기대비 +19.23%), 영업이익 6,380.42억원(전년동기대비 +50.97%), 순이익 6,084.71억원(전년동기대비 +65.18%)

■ GS글로벌(00125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2조원(전년동기대비 +6.18%), 영업이익 159.57억원(전년동기대비 -6.75%), 순이익 88.22억원(전년동기대비 -26.03%)

■ 인바디(0418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55.84억원(전년동기대비 +14.77%), 영업이익 70.02억원(전년동기대비 -29.98%), 순이익 72.85억원(전년동기대비 -16.69%)

■ 원익머트리얼즈(1048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79.96억원(전년동기대비 +3.58%), 영업이익 147.63억원(전년동기대비 +30.02%), 순이익 121.40억원(전년동기대비 +31.75%)

■ 두산로보틱스(45491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2.80억원(전년동기대비 -51.47%), 영업손실 121.0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94.1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동원산업(006040) - 25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206.04억원(전년동기대비 -2.12%), 영업이익 1,035.35억원(전년동기대비 +38.17%), 순이익 882.41억원(전년동기대비 +22.45%).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31조원(전년동기대비 +3.45%), 영업이익 1,248.43억원(전년동기대비 +13.47%), 순이익 747.83억원(전년동기대비 -9.24%)

■ 동성제약(002210) - 이양구,주식회사브랜드리팩터링이 신주상장금지가처분 소송 제기. 부도발생

■ 한전기술(052690) - 풍문 또는 보도(체코원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대한 해명 재공시로 신규원전 건설 계약 체결 진행 중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체코 법원에이의제기 행정소송을 제기하였으며, 체코법원이 행정절차에 따라 본안 판결이 나올 때까지 계약 체결을 일시 중단하라는 가처분 명령을 내린것으로 확인한 가운데, 계약 체결은 연기되었으나 MOU 체결 등 나머지 절차들은 예정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힘

■ 콘텐트리중앙(036420) - 자회사 메가박스중앙 주식회사, 풍문 또는 보도(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한다… 영화산업 빅딜)에 대한 해명으로 롯데쇼핑㈜와 간 합병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으나, 합병관련하여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 롯데쇼핑(023530) - 풍문 또는 보도(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한다… 영화산업 빅딜)에 대한 해명으로 ㈜콘텐트리중앙과 간 합병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으나, 합병 관련하여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허준범 기자 jb_3heo@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5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