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마이크론테크놀로지(NASDAQ:MU.N)의 분기 실적이 시장 컨세서스에 부합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80.5억 달러로 전년 대비 38.3% 증가하며 컨센서스인 79.1억 달러에 부합했다.
주당순이익(EPS)은 1.56달러로 전년 대비 271.4% 늘어나며 컨센서스 1.43달러를 9% 상회했다.
2025년 3분기 가이던스는 중간값 기준 매출액 88억 달러, EPS는 1.57달러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3.5%, 6.1% 상회하는 수준으로 제시했다.
다만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는 중간값 기준 컨센서스 37.4%를 하회하는 36.5%로 제시했다
매출총이익률은 37.9%로 전분기대비 1.6%p 하락했다. 다음 분기까지 매출총이익률이 하락하다가, 4분기부터 다시 상승 전환할 것임을 언급했다.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매출총이익률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낸드 Fab의 낮은 가동률에 따른 조업도 손실이 HBM 증가의 긍정적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분기 HBM 매출액은 최초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HBM TAM은 기존 300억 달러에서 350억 달러로 전망치를 상향했고, 2026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HBM3e 12단은 인증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언급했다.
Capex는 HBM Capa 준비 등을 위해 사용하고, 그 외는 장기적인 Fab plan을 위해 사용된다고 밝히며 공급 조절이 여전히 수급 균형을 위한 주 요인임을 거듭 강조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올해 시장 평균보다 낮은 출하량을 기록할 것이라고 언급해, 디램과 낸드 모두 공급 증가를 계속해서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메모리 시장 회복과 더불어 주가는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HBM 매출 비중 확대와 디램 ASP 증가 기대감을 반영할 때 실적의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채민숙 연구원은 "낮아진 주가 수준을 고려할 때 메모리 시장 회복과 더불어 주가의 상승 여력은 충분할 것"이라며 마이크론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