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정책자금을 122조원 공급키로 했다. 상반기 중에 전체 자금의 60%를 지급해 기업의 자금조달에 숨통을 트여준다는 방침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5대 정책금융기관과 정책금융 조기집행 점검 회의를 열고 "상반기 정책금융 조기집행을 통해 산업현장의 활력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5대 정책금융기관은 지난 14일까지 총 33조원의 자금을 공급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7%(4조9000억원) 많은 자금을 집행했다"며 "이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길었던 설 연휴 등을 고려할 때 매우 빠른 집행 속도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다음달 말까지 88조원, 오는 4월 말까지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2023년 4월(109.3조원) 비교해 13조원 확대된 규모로, 수출입은행 목표치가 추가 반영되며 연초 계획과 비교해서도 3조원이 더 늘었다.
정책금융기관들은 이를 통해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 내에 달성할 계획이다. 여신 중심의 총 공급액 뿐만 아니라 지분투자확대를 위한 정책펀드 결성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3년차를 맞이한 연 3조원 규모의 혁신산업 육성·스케일업 목적 펀드인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지난해 12월 조성계획을 조기에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2023년(3월31일), 2024년(4.5일)에 비해 2개월 가량 빠르다.
산업은행은 정부의 산은 자본금 증자가 실제로 집행되기 전인 지난달 24일부터 4조2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출시했다. 반도체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설비에 투자할 경우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받을 수 있다. 지난해 7월 산은의 자체여력으로 먼저 제공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업의 경우 새로 생긴 프로그램으로 대환(재원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김 부위원장은 "3월부터는 각 기업의 재무제표가 순차적으로 확정되고, 본격적 설비투자가 시작되는 만큼 산업현장에도 활기가 가득하도록 금융위와 정책금융기관이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며 "실물경기 회복속도가 늦춰지면 산업생태계 구성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만큼 정책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