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스타벅스 사랑…韓, 日 제치고 매장수 세계 3위

입력: 2025- 01- 30- 오후 09:43
© Reuters.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한국이 '커피 공화국'이라는 별칭에 걸맞게 스타벅스 매장 수에서 일본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커피 소비 문화가 세계적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30일 스타벅스 글로벌 웹사이트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한국의 스타벅스 매장 수는 2009개로, 일본의 1991개를 18개 차이로 앞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중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스타벅스 매장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인구가 약 5200만명으로 일본(1억2500만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구 대비 스타벅스 매장 밀도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고 분석한다.

스타벅스 코리아의 급속한 성장세가 주목된다. 지난 2020년만 해도 한국의 스타벅스 매장 수는 1508개로 일본에 비해 121개가 적었으나, 3년 만에 이 격차를 뒤집는 데 성공했다.

특히 2020년 이후 매장을 500개 더 늘리는 데 4년밖에 걸리지 않았는데, 이는 사흘에 한 개꼴로 새로운 매장이 문을 열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서울 지역의 스타벅스 집중 현상도 두드러진다. 서울에만 600개가 넘는 매장이 있어 전국 매장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강남구의 경우 오피스 밀집 지역인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100개에 가까운 매장이 운영 중이다.

이런 급격한 성장세에 힘입어 이마트가 지분 67.5%를 보유한 스타벅스 코리아(SCK컴퍼니)는 지난해 매출이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했을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한국의 커피 소비 문화가 세계적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인의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5잔으로, 전 세계 평균(152잔)의 2.7배에 달한다.

이런 통계들은 한국의 커피 시장이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앞으로도 한국의 커피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타벅스를 비롯한 커피 체인들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신 의견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2007-2025 - Fusion Media Limited. 판권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