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뉴스레터를 통해 최 회장이 경영난에 빠져있던 SK하이닉스를 인수한 뒤 AI 시대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시켰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최 회장이 2012년 당시 부채에 시달리던 하이닉스를 인수한 결정이 매우 위험한 투자였다고 짚었다. SK 내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1시간 만에 기습적인 인수 결정을 내린 최 회장은 이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R&D) 투자를 단행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을 지속한 것이 주효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경쟁사인 삼성전자가 HBM 개발팀을 사실상 해체했을 때도, SK하이닉스는 개발을 계속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는 핵심 협력사로 자리매김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HBM을 '하이닉스의 베스트 메모리(Hynix's Best Memory)'라고 부를 정도로 자부심이 높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AI 붐의 수혜로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지난해 초부터 100% 이상 상승했으며, 국내 시가총액 2위 기업으로 올라섰다.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는 SK하이닉스의 HBM 생산물량이 내년까지 완판된 상태라며, 향후 12개월간 HBM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