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쿼터제(수출 물량 제한) 시행과 연관 산업 부진 등 대내외 악재로 신음하는 한국 철강업계가 연초부터 복병을 만났다. 네 번째로 큰 철강 수출시장인 유럽연합(EU)이 철강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발동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EU는 다음달 2일부터 2021년 6월30일까지 일정 물량을 초과하는 열연·냉연 강판과 후판 등 26개 수입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저율관세할당(TRQ)을 도입하기로 했다.
EU는 지난해 7월부터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로 미국으로 수출되던 철강제품이 유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과거 3년(2015~2017년) 평균 수입물량의 100%까지만 무관세 수출을 잠정 허용해왔다. 이번 최종 조치에서는 쿼터량이 늘어 시행 첫해에 2015~2017년 평균 수입물량의 105%까지 무관세를 적용받는다.
잠정 조치 때보다 수출이 가능한 쿼터량이 늘어(100%→105%) 기존 EU 수출물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란 정부 예상과 달리 철강업계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이 EU로 수출하는 철강 제품 규모는 2017년 기준 330만t으로 금액은 29억달러(약 3조2596억원)에 달한다. 2013년(155만t)의 두 배를 웃돌 정도로 수출 증가율이 가팔랐다. 작년 1~11월 EU로의 철강 수출량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8.6%나 증가했지만 잠정 긴급수입제한조치가 발효된 7월 이후 증가폭은 0.8%에 그쳤다는 점에서 철강업계의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 잠정 조치에 없었던 스테인리스 후판과 레일·궤조, 냉연강재 등이 새로 쿼터제에 포함된 것도 부담이다.
유럽에 주로 수출되는 품목이 포스코, 현대제철 등 대형 철강업체의 주력 제품인 판재류여서 대형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판재류는 자동차와 선박을 만들 때 쓰이는 고부가가치 철강 제품이다. 미국 수출품은 중소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강관류(파이프)여서 그동안 국내 중견 철강업체들의 피해가 컸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태백산서 각오 다진 최정우 포스코 회장
포스코그룹, 印尼 쓰나미 복구성금 50만달러
철강株 한파…목표가 줄줄이 하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