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7월28일 (로이터) - 채권시장은 미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28일 약세 출발할 전망이다. 뚜렷한 재료가 없어 쉬어 간다는 인식이 강한 상황이어서 변동성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전날 장 마감 후 기획재정부는 다음 달에 국고채 6조7000억원을 경쟁입찰 방식으로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정부가 이날 발표한 '8월 국고채 발행계획'에 따르면 다음 달에 국고채 3년물 1조4500억원, 5년물 1조6500억원, 10년물 1조5000억원, 20년물 7000억원, 30년물 1조4000억원이 발행된다.
이 같은 국고채 발행 예정금액은 7월보다 4000억원 줄어든 것이다. 3년물은 7월보다 1500억원, 5년물은 1000억원, 10년물은 1500억원 줄었다.
3년물과 5년물, 10년물 발행이 줄면서 20년물과 30년물 등 초장기물의 발행 비중은 다소 늘었다.
하지만 최근 초장기물이 이상 강세를 보여왔던 것을 감안하면 재정부의 조치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연내 국고채 50년물 발행 여부가 미궁에 빠져버린 상황에서 30년물의 강세는 어느 정도 예상됐던 측면이 있다.
하지만 상반기 국고채 50년물 발행 실패 이후 재정부가 보인 행보에 대해서는 의문 부호가 붙는다. 50년물 발행 실패의 결과 30년물 스프레드가 벌어지면서 수익률 곡선의 스티프닝이 이어졌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가능성까지 더해지며 커브 스티프닝은 대세로 굳어지는 듯했다. 하지만 외화채 투자의 기대수익률이 하락하면서 보험사들이 원화채 투자로 선회하자 분위기가 바뀌었다.
시장의 초장기물 수요가 다시 늘어나는 상황에서 초장기물 발행 비중은 재정부가 당초 밝힌 목표 레인지의 하단까지 떨어졌다. 이때 재정부가 초장기물 발행을 늘리면서 시장 불균형에 일정 부분 대응할 여지가 있었다.
하지만 재정부의 적극적인 액션은 없었다. 초장기물 발행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려가겠다는 시그널도 뚜렷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재정부가 발행금리에 대해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이다. 국고채 발행담당자들이 한 해 성과를 평가받을 때 국고채 만기 가중평균 대비 조달금리가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었다.
이러다 보니 초장기물의 불균형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전날 10년물과 30년물 스프레드가 다시 벌어지긴 했지만 지속될지 확신하기 어렵다. 8월 국고채 발행계획도 별다른 변화 없이 넘어간 상황에서 30년물 시장이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주목된다.
시장참가자들은 전반적으로 캐리 물건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바이백 대상채권을 위주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은행들이 민간평가사 평균보다 높은 금리에 채권 발행을 이어가고 있는 것도 눈에 띈다. 하반기 은행채 대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임승규 기자; 편집 전종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