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1일 총파업을 강행했다. 민주노총의 전국 단위 총파업은 2016년 말 박근혜 정부 퇴진 요구 이후 2년 만이다. 자동차와 조선 등 주력 산업 현장에 ‘비상벨’이 울리고 있는데도, 민주노총이 명분 없는 ‘정치파업’을 벌였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국회 앞 등 서울 14개 지역에서 조합원 1만여 명(주최 측 추산)이 모인 가운데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적폐 청산’, ‘노조할 권리’, ‘탄력근로제 기간 확대 중단’ 등을 요구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청와대와 여당이 민주노총을 적대시하는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의 개혁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2, 제3의 총파업을 일으키고 12월1일 전국 민중대회 총력 집결을 비롯해 대개혁 투쟁의 선봉에 설 것”이라고 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이날 전국 109개 사업장에서 12만8277명이 총파업에 참여했다. 고용노동부는 80여 개 사업장에서 9만여 명이 동참한 것으로 파악했다.
‘정치파업’은 산업 현장의 피해로 이어졌다. 현대·기아자동차 노조는 울산 및 광주공장 등에서 각각 오전과 오후 2시간씩 4시간 파업을 벌였다. 두 회사의 일부 공장 가동 중단으로 3400여 대가량의 생산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른 매출 손실은 700억원대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GM 노조도 부평과 창원공장에서 3시간 동안 파업에 들어갔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연쇄 파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 20일 8시간 전면 파업을 벌인 데 이어 이날도 8시간 도크를 멈춰 세웠다. 22일과 23일에도 4시간씩 파업한다. 노조가 파업을 벌일 때마다 83억5000만원(8시간 기준)의 손실을 본 것으로 회사 측은 추산했다.
이들 회사 노조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파업 참여를 독려했지만, 일부 직원은 동조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가 현실과 동떨어진 파업을 강행한 것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한 현대차 직원은 “회사가 어려운데 이래도 되는 건지 모르겠다”며 “파업으로 괜히 임금만 깎이게 생겼다”고 말했다.
이수빈/장현주 기자 lsb@hankyung.com
민주노총 총파업
국회 앞에서 총파업 대회 연 민주노총
비정규직 철폐 요구하는 민주노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