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지난 9월 평양 남북한 정상회담 때 총수급이 동행했던 국내 주요 그룹 6곳에 ‘대북사업 보고’를 요구했다가 돌연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재무부는 이번주 초 주한 미국대사관을 통해 삼성과 현대자동차, SK, LG, 포스코, 현대 등 방북 수행단에 포함됐던 6개 그룹에 대북사업 현황 자료를 제출하고, 실무급 대북사업 담당자를 중심으로 콘퍼런스콜(전화회의)을 요청해 논란이 됐다.
A그룹 고위관계자는 1일 “얼마 전 미 대사관으로부터 콘퍼런스콜을 할 예정이니 자료를 준비해달라는 연락을 받았는데, 오늘 오후 다시 취소한다는 연락이 왔다”며 “다른 그룹도 같은 상황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가 대북사업과 관련해 우리 그룹들을 직접 접촉하려는 움직임이 공개되면서 미국 측이 부담을 느껴 계획했던 일정을 취소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른 그룹 고위관계자는 “한국 언론에서 관련 보도가 이어지자 미국 정부가 한국 재계에 직접 압박을 가하는 모양새로 비칠까 부담을 느낀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미 재무부는 올 9월 국내 시중은행 7곳에 전화해 “북한과의 금융 협력 재개는 미국의 정책과 불일치한다”며 대북 제재 준수를 강력히 요구했다.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를 거치지 않고 국내 민간은행 및 기업에 대북정책과 관련해 직접 연락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콘퍼런스콜 요청을 받고 ‘비상’이 걸렸던 기업들은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정부 요청으로 방북한 기업들이 미국의 제재 ‘워치리스트’에 올라 대미(對美)사업에 타격을 입지 않을까 전전긍긍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계에서는 “방북 전부터 걱정하던 일이 결국 터졌다”는 불만이 나왔다. 미국 정부와 청와대 사이에서 애꿎은 한국 기업만 피해를 볼 처지에 놓이게 됐다는 것이다. 평양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까지 나서 “경제인들도 꼭 함께했으면 좋겠다”고 하자 기업인들은 ‘북한에 가면 미국 정부에 찍히고, 안 가면 한국 정부에 찍힌다’고 곤혹스러워한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살아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남북 경협에 대해 구체적인 약속을 할 수 없는 입장”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괜히 북한으로부터 ‘숙제 검사’를 받고, 미국에서는 ‘숙제를 제출했느냐’고 감시를 당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라고 했다.
미국대사관의 연락 자체를 ‘무언의 압박’으로 받아들인 한국 기업들은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언제라도 비슷한 감시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방북 기업들의 주력 사업이 전자와 자동차, 정유·화학, 철강 등 미국과의 거래가 많은 분야라는 점이 부담이다.
고재연/박상용 기자 yeon@hankyung.com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美서 '글로벌 리서치 심포지엄' 열어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첫 해외 심포지엄…'신경과학' 토론
미리 보는 화성탐사선 인사이트호 착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