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속보
Investing Pro 0
👀 베조스, 버핏 & 버코위츠: 그들의 포트폴리오엔 어떤 종목이 있나요? 데이터 잠금 해제

100곳 중 5곳은 '고위험 수준'…한은의 섬뜩한 보고서

입력: 2023년 03월 24일 03:32
저장됨. 저장된 항목 보기.
이 기사는 저장된 항목에 벌써 저장되었습니다.
 
© Reuters. 100곳 중 5곳은 '고위험 수준'…한은의 섬뜩한 보고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한국은행이 23일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통해 금융부채 고위험가구가 6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했다. 이날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경제·금융수장들이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실로 입장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감원장, 추 부총리, 이창용 한은 총재. 연합뉴스 보유 자산을 모두 처분해도 빚을 갚기 어려운 ‘고위험가구’가 6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최근 1년 사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기준금리가 급속히 인상되고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여파로 고위험가구의 부실 위험은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부실 우려 커진 고위험가구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위험가구 비율은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가 1230만 가구인 것을 고려하면 61만5000가구가 고위험가구에 해당한다. 2021년 말 기준 2.7%에서 1년2개월 만에 두 배 수준으로 비중이 늘어난 것이다. 고위험가구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부채자산비율(DTA)이 10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소득의 40% 이상을 빚 갚는 데 쓰고, 자산을 다 팔아도 빚을 갚지 못해 부실 위험이 높은 가구를 의미한다.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2억5000만원으로, 비(非)고위험가구(1억원)보다 1.5배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실 위험은 지난 1년 사이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됐다. 고위험가구의 평균 DSR은 2021년 101.5%에서 지난달 116.3%로 확대됐다. DTA는 같은 기간 116.3%에서 158.8%로 크게 높아졌다. 이들의 금융부채는 전체 가계 부문 금융부채의 9%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영업 가구의 30.9%는 DSR이 40%를 넘었다. 자영업 가구 세 가구 중 한 가구는 번 돈의 40% 이상을 빚 갚는 데 쓴다는 의미다. ○대출자, 소득의 40%는 빚 갚는 데 써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가계대출을 보유한 사람은 소득의 40%를 원리금 상환에 쓴다는 의미다. 가계대출 차주 평균 DSR이 40%를 넘어선 것은 2018년(40.4%) 후 4년 만이다.

DSR이 70%를 초과하는 고(高)DSR 차주 비중은 15.3%로 나타났다. DSR이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는 8.9%로 집계됐다. 소득별로는 저소득층 DSR이 64.7%로, 전년(59.5%)보다 5.2%포인트 확대됐다. 중소득층(35.1%→37.7%)과 고소득층(37.5%→39.1%)은 DSR이 40%를 밑돌았다. 한은은 “가계 전반의 부실 위험은 낮다”면서도 “채무상환 부담이 과다하고 자산 처분을 통한 부채상환 여력도 부족한 고위험가구의 부실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불안지수 5개월째 ‘위기’금융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물·금융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금융불안지수(FSI)는 지난달 21.8로 집계됐다. 작년 10월(23.5) 이후 5개월째 ‘위기’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FSI는 22 이상일 때 ‘위기’로 본다. 김인구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시장 안정화 조치 등에 힘입어 금융시장 불안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나,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금융불안지수가 위기 단계를 유지했다”며 “특히 경제 주체의 신용위험과 무역수지 적자 등 대외 부문에 대한 경계감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금융 불균형 상황과 금융회사 복원력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금융취약성지수(FVI)는 지난해 3분기 46.6에서 4분기 44.6으로 낮아졌다. 경제주체들의 위험 선호 경향이 줄면서 금융 불균형이 다소 개선됐기 때문이지만, 여전히 장기 평균(41.1)을 웃돈다. 한은은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에 따른 국내 영향과 관련해 “국내 금융회사는 SVB와 자산·부채 구조가 다르고 각종 금융규제 등을 고려했을 때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면서도 “SVB 사태 등으로 위험 회피 성향이 강해지고,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외국인 투자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건물 공사 늦어져 손해 발생"…한국은행, 조달청에 소송

한은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수시로 확대될 가능성"

서울 가계대출 연체율 '최고'

규제 대폭 풀려 '봄 바람', 내 집 마련 문 넓어졌는데…

한국은행에 '수석 이코노미스트' 생기는 이유 [조미현의 BO...

한국의 은행 100년사...은행은 왜 동네북이 됐나

100곳 중 5곳은 '고위험 수준'…한은의 섬뜩한 보고서
 

관련 기사

의견 등록하기

의견 지침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존중하기. 부정적인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표준어 사용: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 비방, 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여기에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세요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공유: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의견은 중재자가 승인할 때까지 보류되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웹사이트에 표시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차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등록
 
첨부된 차트를 새 차트로 교체할까요?
1000
유저님의 부정적인 댓글 내용으로 인해, 유저님은 더이상 댓글을 작성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저님의 계정 상태는 관리자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신 후에 다시 의견을 작성해 주십시오.
의견에 차트 첨부하기
차단 확인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 의견 보고하기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의견에 깃발 표시됨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혹은
이메일로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