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 두 번째)이 21일 서울 서린동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수출입동향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안 본부장은 “글로벌 경기 상황과 반도체 가격 하락세 지속으로 수출 여건은 당분간 어려움이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뉴스1 올 들어 지난 20일까지 쌓인 무역수지 적자가 241억3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정부 수립 이후 최대였던 작년 연간 무역적자 총액(478억달러)의 절반을 넘는 규모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3년 3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은 통관 기준 309억45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4% 감소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은 이 기간 21억3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27억8000만달러)과 비교해 23.1% 줄었다.
지난 1~20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한 372억6900만달러였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원유(-10.3%)와 가스(-23.1%) 수입이 줄어든 결과다. 다만 석탄(19.4%)과 승용차(24.5%) 수입은 크게 늘었다.
수입보다 수출 감소폭이 더 큰 탓에 이달 1~20일 무역수지는 63억23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치솟았던 지난해 같은 기간 무역적자 규모가 20억4700만달러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올해 교역 상황이 더 악화한 셈이다. 연초부터 3월 20일까지의 누적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해 65억2400만달러에서 올해 약 네 배인 241억300만달러로 불어났다.
지난 1~20일 한국의 10대 수출 품목 가운데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수출이 늘어난 품목은 승용차(69.6%)뿐이었다. 나머지 9개 품목은 모두 수출이 줄었다. 특히 수출 규모가 가장 큰 반도체 수출이 이 기간 44.7% 줄며 반토막 났다. 무선통신기기(-40.8%)와 컴퓨터 주변기기(-60.9%), 가전제품(-45.6%), 선박(-57%)의 수출 감소폭도 컸다.
국가별로 보면 지난 1~20일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는 21억97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대중 수출이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6.2% 급감한 반면 수입은 9.1% 증가한 결과다. 대중 무역적자는 작년 10월부터 6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반도체 생명수 공정, 3년내 설계·운영 국산화"
"돈 떨어졌냐" 1000억 벌던 '中 영웅'에 쏟아진 비난…왜?
중국 문 다시 열린다…게임주 모처럼 '방긋'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