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가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지난해 60%에서 올해 80%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올해 아파트 공시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종부세 부담을 낮추기 위해 지난해 95%에서 60%로 낮춘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예년 수준으로 ‘원위치’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08년 제도 도입 후 2018년까지 줄곧 80%였다. 문재인 정부는 2019년 85%, 2020년 90%, 2021년 95%로 이 비율을 높였다. 주택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주택 공시가격이 급등한 데다 공정시장가액비율까지 높아져 종부세 부담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자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이 비율을 60%로 낮췄다. 올해 이 비율을 80%로 올리면 부동산 세제를 다시 예년 수준으로 돌리는 것이다.
공정시장가액비율 상향 조정은 그 자체로는 개인에게 불리하다. 종부세 과표를 정할 때 개인별 보유 주택의 공시가격에서 공제금액을 뺀 금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는데, 이 비율이 높으면 종부세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이 80%로 높아져도 대부분의 개인은 작년보다 종부세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내내 집값 하락이 이어져 오는 4월 최종 결정될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역에 따라 작년보다 10~20%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경기 둔화로 ‘세수 펑크’가 우려되는 점도 기재부가 공정시장가액비율 인상을 검토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기재부는 이미 올해 예산안을 짤 때 공정시장가액비율을 80%로 가정했다. 올해 종부세수는 약 5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최종 예산(추가경정예산) 대비 30% 넘게 줄어들 전망이다. 만약 공정시장가액비율을 60%로 유지하면 올해 종부세수는 예산안보다 더 줄어든다.
다만 기재부는 최종적인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주택 공시가격 공개 후 거시경제 여건과 세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부부공동명의·단독명의, 뭐가 유리할까 [택슬리의 슬기로운 세...
酒稅 빼고…모든 세수가 확 줄었다
한 달 만에 세수 6조8000억 덜 걷혀…소득·법인·부가세 ...
1년 안 돼 또 새집 사면…일시적 2주택자도 '양도세 폭탄'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