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메모리얼 데이' 맞아 휴장](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external-images-thumbnails/pic31926ba54d48f599f09cd5d02aeed577.jpg)
금리 급등과 루나·FTX 사태 등의 여파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 하루평균 거래 규모가 반년 새 43%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하반기 기준 시가총액은 상반기에 비해 4조원 쪼그라들었다.
19일 금융위원회가 36개 가상자산 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22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장 하루평균 거래대금은 3조원으로 상반기(5조3000억원) 대비 43% 감소했다. 2021년 하반기(11조3000억원)와 비교하면 73% 급감했다.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도 2021년 하반기 55조2000억원, 작년 상반기 23조원, 작년 하반기 19조4000억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6개월 새 국내 가상자산 시총 하락률은 16%로 글로벌 가상자산 시총 감소율(10%)보다 낙폭이 컸다.
금융위 측은 “실물경제 위축에 따른 가격 하락과 테라·루나 사태(5월), 셀시우스 및 스리애로(6월), FTX(11월) 등 주요 글로벌 가상자산 업체의 연쇄 파산 등 위기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국내의 경우 일부 발행재단의 허위 유통량 공시 문제로 투자자 신뢰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코인 시장 침체기는 당분간 더 이어질 전망이다. 잠재적 투자 수요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원화예치금(5조9000억원→3조6000억원·38% 감소)과 거래 가능 이용자 수(690만 명→627만 명·9% 감소)가 모두 줄었기 때문이다. ‘잡코인’ 대신 우량 코인 선호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글로벌 상위 10개 코인에 대한 투자 비중은 작년 상반기 46%에서 하반기 57%로 11%포인트 높아졌다.
이번 조사에서 가상자산 거래 중단(상장폐지) 사유를 처음으로 분석했는데 프로젝트 위험(50%), 투자자 보호 위험(22%), 시장 위험(22%) 등 순서로 조사됐다. 투자자 연령대를 살펴보면 30대(30%), 40대(28%), 20대 이하(21%), 50대(16%), 60대 이상(5%) 순이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블록오디세이, 축구선수 퍼포먼스 NFT 플랫폼 '트랙스' 출시
오지스, 웹3 리워드 전문 기업 '스완랩스'와 맞손
빗썸, NH농협과 실명확인 입출금 계좌 발급 계약 1년 연장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의견 등록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