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저축은행 수신금리가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 지난해 8월 이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세 차례 인상하면서 시중은행 수신금리가 높아지자, 금리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저축은행이 보다 큰 폭으로 수신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다. 초저금리 시대가 저물면서 한동안 찾기 어려웠던 연 7%대 고금리 특판 상품까지 등장한 상태다. 연내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될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조만간 연 3%대 정기예금 상품이 자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연 7% 금리를 제공하는 '크크크777정기적금'을 판매 중이다. 자사 디지털금융 플랫폼 '크크크' 애플리케이션(앱) 전용 상품이다. 앱 가입 후 '크크크 파킹통장 보통예금'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 이달 31일까지 매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777명씩 총 2만4087명에게 가입 기회가 주어진다. 7개월 만기 상품으로 월 최대 2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이자는 만기에 일시 지급된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지난해 12월 최고 연 5% 금리를 주는 '위드정기적금'을 출시했다. 기본금리는 연 2.1%다. 자사 앱을 설치한 뒤 마케팅 동의를 하면 2.9%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해준다. 1인 1계좌로 제한되며, 월 최대 2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고려저축은행도 연 5% 금리를 제공하는 '고 뱅크 정기적금'을 판매하고 있다. 가입 기간은 12개월이며 월 최대 납입금은 20만원이다. 2월 말까지 판매하는 상품으로 한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웰컴저축은행은 최대 연 6% 금리를 주는 '웰뱅든든적금'을 판매 중이다.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게 특징이다. 이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2%다. 그러나 신용점수가 350점 이하면 3%포인트, 350점 초과 650점 이하면 2%포인트, 650점 초과 850점 이하면 1%포인트 추가 금리를 적용한다. 웰컴저축은행의 첫 고객에겐 1%포인트의 우대금리도 추가된다. 월 최대 납입금은 30만원이다.
단, 저축은행 고금리 특판 또는 적금 상품을 이용할 경우 월 최대 납입금 한도가 작고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복잡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자 수익이 예상보다 낮을 수 있어서다. 때문에 최고 금리 혜택을 받기 위한 세부 사항과 만기 시 얻을 수 있는 이자에 대해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상품은 일반적인 금융상품과 조건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는 해당 상품들이 일시적인 성격을 따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각 상품의 가입 조건 등을 보다 상세히 살핀 뒤에 의사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고금리 특판 또는 적금 상품 가입이 꺼려진다면 저축은행 정기예금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최근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국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12개월 기준 연 2.43%로 집계됐다. 24개월 연 2.46%, 36개월 연 2.46%다. 12개월 기준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지난해 7월 연 2%대로 진입한 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저축은행의 수신금리는 추후 더 빠른 속도로 오를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연 1.0%에서 연 1.25%로 0.25%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연내 1~2차례 추가 인상에 나설 것이 전망돼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금융사의 수신금리는 함께 오르게 된다. 저금리 기조에선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간 금리 차가 뚜렷이 드러나지만, 금리 인상기엔 두 업계 간 금리 차를 크게 체감할 수 없기 때문에 저축은행의 고객 확보 동력이 줄어들 수 있다.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에 따라 저축은행이 더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여기에 올해 4월 당국의 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 비율) 완화 정책 종료가 예정된 점도 수신금리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앞서 당국은 저축은행 예대율 100% 기준에서 10%포인트 이내로 위반하는 것에 대해 제재를 면하는 정책을 오는 3월 말까지 연장한 바 있다. 그간 저축은행이 보유 중인 예수금을 초과하는 대출을 취급했더라도 당장 예수금을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없었으나, 당장 4월부터는 예대율 100%를 준수하기 위해 예수금 확보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초저금리 시대가 저물고 금리 인상기에 돌입한 만큼 당분간 저축은행도 수신금리를 올리는 데 집중할 수밖에 없다. 시중은행과 금리 차에서 경쟁력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라며 "시중은행보다 약 1%포인트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계속 오를 것으로 본다. 조만간 연 3%대 정기예금 상품이 출시되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이라고 귀띔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코스피, 짙어진 美 기준금리 경계감에 보합권 등락…시총상위株...
"나는 Fed와 싸우지 않기로 했다"
노무라 "Fed, 3월에 금리 50bp 인상할 것"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이 지난 2021년, 상장사 직원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을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가...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코멘트를 추가합니다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관점을 공유하고,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