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경2000조원’ 규모 美 퇴직연금 시장에 가상자산 허용 추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 시한을 90일 추가 연장했다. 올해 1월 취임 후 벌써 세 번째 연장 조치로 6월 19일 만료 예정이던 시한은 9월 중순까지 미뤄지게 됐다. 표면적으로는 매각 협상 타결을 위한 시간을 벌어준 것이지만 그 이면에는 국가 안보와 1억7000만 미국 이용자의 표심 사이에서 벌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복잡한 정치적 계산이 깔려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길 원하지 않는다"며 "이번 연장은 거래가 마무리돼 미국 국민이 데이터 보안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틱톡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 역시 G7 정상회의를 마치고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매각 시한 연장 가능성을 시사하며 시진핑 중국 주석이 결국 거래를 승인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번 90일 연장은 전임 바이든 행정부 시절 통과된 이른바 ’틱톡 금지법’에 따른 것이다. 해당 법은 ’의미 있는 진전’이 있을 경우 대통령 재량으로 단 한 차례 90일 연장을 허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1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75일씩 시한을 연장해준 바 있다.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는 법안 무효 소송 등으로 맞섰으나 모두 실패하며 매각 외에는 선택지가 없는 상황에 몰렸다.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은 ’알고리즘 통제권’ 문제다. 현재 유력 인수 후보인 오라클-블랙스톤 컨소시엄은 미국에 신설 법인을 세워 지분 구조를 재편하고 오라클이 사용자 데이터 보안을 책임지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사용자의 콘텐츠 취향을 파악하고 영상을 추천하는 핵심 기술인 알고리즘은 여전히 중국 바이트댄스가 통제하는 구조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중국 통제를 금지한 미국 안보법과 정면으로 충돌할 수 있어 의회 강경파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실제로 지난 4월 오라클 주도의 거래가 성사 직전까지 갔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과에 중국이 반발하며 협상이 중단된 전례가 있다. 최근 격화되는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과 통상 마찰 역시 틱톡 매각 협상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양국은 지난달 제네바 회담에 이어 이달 런던에서도 만났지만 뚜렷한 성과 없이 갈등의 골만 확인했다. 이번 시한 연장으로 틱톡은 당장 미국 내 서비스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핵심 쟁점인 알고리즘 통제권과 격화되는 미중 갈등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산을 넘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