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Times -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가구 및 개인에게 제공되는 무상교육·보육·의료 등 현물복지소득이 연간 910만 원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사회적현물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은 가구 평균 910만 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은 국가나 민간 비영리단체에서 가구 및 개인에게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무상교육, 보육, 의료 등의 혜택이 여기에 해당한다.
2022년 기준 가구 소득 대비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의 비중은 13.5%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의 13.5%가량을 정부가 대신 지출해 줬다는 뜻이다. 2019년 14.5%로 정점을 찍은 가구 소득 대비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의 비중은 2020년과 2021년(각 13.6%)에 비해선 소폭 하락했다.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을 분야별로 보면 의료 부문이 449만 원으로 가장 컸고, 이어 교육(404만 원), 보육(36만 원), 기타바우처(21만 원) 등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의료 부문은 1.4% 늘고, 교육은 1.9% 줄어든 수치다.
다만 의료 부문은 고령화 영향으로 늘고, 교육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자연스럽게 줄었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소득 분위별로는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은 673만 원, 상위 20%인 5분위는 1211만 원으로 파악됐다.
가구소득 대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1분위 47.9%, 5분위 7.8%로 각각 나타났다.
가구원 수별로 살펴보면 1인 가구의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328만 원, 4인 가구는 1734만 원이었다. 그 외 2인 가구는 612만 원, 3인 가구는 941만 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이 높으며, 특히 4인 가구 이상에서 대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사회적 현물 이전을 반영한 균등화 조정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는 0.277로, 반영 전과 비교해 0.047 감소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말한다. 개선효과는 은퇴연령층, 아동층, 근로연령층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