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아프리카 교육에 대한 지원은 초등교육에 집중돼왔습니다. 하지만 초등교육만으로는 아프리카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어렵습니다. 기술이나 디지털 교육 등으로 범위를 넓혀 다양한 부문에서 교육격차를 줄여가야합니다.”
안 테레스 은동 자타 유네스코 동부아프리카 지역사무소 소장은 7일 ‘글로벌 인재포럼 2019’의 ‘글로벌 인재 격차,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세션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에선 초등학교를 졸업하더라도 중학교, 고등학교로 진학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다”며 “기초교육과 함께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가 병행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세션에는 백숙희 한국국제협력단 아프리카·중동·중남미본부 상임이사가 좌장으로, 김철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능력·자격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과 박영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프리카·중동팀 연구위원이 토론자로 나섰다.
자타 소장이 기초교육 이외의 다양한 부문의 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아프리카의 청년층 인재 유출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자타 소장은 “과거엔 식민지배 아래서 청년층이 강제로 해외로 나갔지만 이제는 더 나은기회를 찾기 위해 스스로 떠나고 있다”며 “기술교육 등을 통해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사업기회를 잡을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백 상임이사 역시 “해외에서 공부한 인재도 아프리카로 돌아오면 일자리가 없어 정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아프리카 국가의 고급 인력들이 자국에서 자리잡아 발전을 이끌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에 중점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프리카로 대표되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간의 교육격차를 줄이려면 정부가 아니라 민간 기관에 대한 지원이 이뤄져야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많은 국가에서 부패한 정부가 권력을 잡고 있다는 이유때문이다. 자타 소장은 “그동안 아프리카 지역에 각국의 공적개발원조(ODA)가 광범위하게 이뤄졌는데도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한 것은 정부가 부패했기 때문”이라며 “부패한 정부가 아니라 현지 기관에 직접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도모해야한다”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지원 대상뿐 아니라 주체 역시 효율성이 높은 민간을 중심으로 바뀌어야한다”며 “공적 원조라는 기존 개념에서 벗어나 기업의 사업 모델과 원조를 결합하는 방안도 고민할 때”라고 말했다.
교육은 물론 인프라 등 산업 부문에 대한 투자가 함께 이뤄져야 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박 연구위원은 “아무리 양질의 인재를 양성해도 산업이 발전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며 “도로 전기 등 기본적인 인프라 투자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의 아프리카 인프라 투자를 새로운 식민화라고 비판하는 일각의 목소리가 있지만, 아프리카의 경제 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해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밀레니얼이 원하는 건 '자신들...
"세계 58개국이 직·간접적으로...
"저성장 시대엔 신뢰가 중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