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쇼핑몰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데 긍정적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복합쇼핑몰이 영세 상인들 생계를 위협한다’며 강한 규제를 추진 중인 정치권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연구 결과여서 주목된다. 현재 시행 중인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 규제도 정책적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유통학회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 교수가 최근 국내 한 신용카드사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복합쇼핑몰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효과가 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조 교수가 대표적 사례로 꼽은 것이 스타필드다. 신세계는 ‘테마파크형 쇼핑몰’이란 콘셉트로 2016년 9월 경기 하남에 처음 스타필드를 세웠다. 스타필드 하남이 생긴 뒤 인근 집값이 크게 뛰고 상권이 확장되는 등 하남시 경제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조 교수는 이런 평가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했다.
스타필드 하남 반경 10㎞ 이내에는 2만 개에 가까운 상점이 있는데 이들의 매출이 매년 늘었다. 정치권 주장대로라면 매출이 감소해야 했다. 2016년 첫해 매출 증가율은 5.6%. 이듬해인 2017년은 약 8.0%, 2018년에는 7.6%를 기록했다. 가구 판매점은 2014년 대비 2018년 매출이 162%나 뛰었고, 편의점(매출 증가율 167%), 커피 전문점(63%), 약국(50%), 음식점(35%) 등도 큰 폭의 매출 증대 효과를 봤다.
상권 활성화에 기여한 것은 ‘집객효과’ 때문이다. 조사결과 스타필드 하남은 10㎞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방문하는 사람이 전체 방문객의 61.5%를 차지했다. 이들이 하남으로 유입돼 스타필드뿐 아니라 인근 식당에서 밥을 먹고, 커피 마시고, 물건을 사고 있다는 의미다. 집객 효과는 쇼핑몰의 규모가 클수록 더 확연히 나타났다. ‘미니 스타필드’로 불리는 스타필드 위례점은 10㎞ 밖에서 온 사람이 전체의 22.6%에 불과했다.
조 교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에 사람들이 어떻게 하는지도 조사했다. 마트 이용을 해 본 465명을 대상으로 작년 12월 설문을 벌였다. ‘전통시장에 갔다’고 답한 응답자는 5.8%에 불과했다. 동네 슈퍼에 갔다는 사람은 23.6%였다. 나머지 약 70%에 해당하는 사람은 △집에서 쉬었거나(19.7%) △온라인 쇼핑을 했거나(11.8%) △다른 마트를 방문(11.6%)했다. “규제의 목적이 달성됐다고 보기 힘들다”는 것이 보고서의 결론이다.
대형마트가 소비 촉진을 유발했다는 근거는 여럿 나왔다. 이마트와 트레이더스 여섯 곳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데이터를 분석했더니, 이들 매장 이용객의 약 29%가 주변 음식점에서 돈을 썼다. 인근 편의점과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구매한 사람도 10%를 넘었다. 설문조사에서도 대형마트 이용객 10명 중 6명은 인근에 있는 식당, 옷집 등 소매점을 이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치권에선 대형마트뿐 아니라 복합쇼핑몰 등 대형 유통 매장을 옭아매는 규제법안을 잇달아 내고 있다. 21대 국회 들어 발의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8개에 이른다.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지난달 대표 발의한 개정안에는 복합쇼핑몰뿐 아니라 이케아 같은 전문점과 백화점, 아울렛, 면세점까지 월 1~2회 강제로 문을 닫게 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고객 줄 세운 정용진의 '초저가 매직'
이마트, 휴가철 냉장수박 판매
이마트, 스파클링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