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6월30일 (로이터) 박예나 기자 - 연금 기금으로는 세계 3위 규모인 570조원(올해 3월말 기준)의 자산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의 작년 운용수익률이 절대 수익률은 양호했지만, 시장 대비 상대수익률(벤치마크)로 보면 저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연금 측이 장기적으로 해외 투자를 확대해 투자를 다변화하면서 수익률도 높이겠다고 하고 있지만, 작년 해외 투자가 전체 성과를 끌어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기금 운용위원회가 지난 28일 확정ㆍ의결한 2016년 국민연금 기금 운용 결과에 따르면 기금 수익률은 전년 대비 0.18%p 오른 4.75%로 이 중 기금 투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금융 부문 수익률은 전년 대비 0.12%p 오른 4.69%로 나타났다.
이런 수치는 기금 운용의 최소 목표인 '기금의 실질가치 유지'를 위해 필요한 수익률 6.8%에 마이너스 조정치를 적용한 목표수익률인 6.1%와 벤치마크 수익률인 4.80%에 미달한 것으로 해외투자에 대한 성과 부진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 벤치마크 미달한 해외 주식ㆍ채권..인력 누수 진행
기금 운용 평가 자료에 따르면 해외 주식 수익률은 자산군별 투자 성과에 있어 가장 높은 절대 수익률 10.13%를 달성했다. 하지만 벤치마크 대비 0.96%p나 크게 밑돌았다. 또한 4.01% 수익률을 기록한 해외 채권도 벤치마크에 비해서는 0.39%p 못 미쳤다.
한편 국내 채권ㆍ주식 및 대체투자는 시장 수익률을 모두 넘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27%였던 해외투자 비중을 2018년 말 29.3%로 확대하고 2022년에는 40% 수준으로 높여 해외투자를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이처럼 해외투자 확대로 전략 지향점을 잡은 상황에서 해외투자가 시장 성과에 미치지 못한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해외주식은 미국 비중이 높았던 직접 운용에 따른 성과는 벤치마크를 초과 달성했지만, 미국 외 선진국 등 기타 국가 주식 비중이 컸던 위탁 운용 부문이 벤치마크 대비 마이너스 수익률을 달성했다"면서 "또 해외채권은 미국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듀레이션을 축소한 전략 등이 이유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정량적 요인 외에도 작년부터 가속화된 인력 유출에 따른 정성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지난 한 해 그리고 올해 2월까지 기금운용본부를 퇴직했거나 퇴직 의사를 밝힌 직원은 모두 41명으로 이 중 해외 증권과 해외 대체 분야 운용역만 15명에 달한다. 한편 지난 3월에 있었던 올해 첫 채용에서는 목표 채용 인원 30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4명만 겨우 채용했다.
기금운용본부의 전주 이전과 여러 정치적 현안들에 얽히면서 핵심 운용 인력들은 빠져나갔고 이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국민연금은 투자다변화와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런던 등 해외사무소의 현지자산운용전문가 채용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연봉 등 성과 보상 체계가 시장에 비해 떨어지면서 현지 사정은 국내 인력 운용상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2016년도 기금운용평가보고서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비중 확대가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해 제한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며 적정규모의 해외투자 전문이력이 확보되기 이전이라도 패시브 운용을 중심으로 투자 비중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국민연금기금은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이자 나아가 글로벌 3대 연기금이다. 하지만 수장도 없이 표류 중인 데다 인력 누수는 심각하다. 그런 가운데 공공 부문 투자 확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 굵직한 정책과 관련한 현안들은 계속 쏟아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그나마 주식시장 호조로 수익률이 양호해서 상황이 무난해 보이지만 시장 여건이 바뀐다면 현재 쏟아지는 현안들과 맞물리며 기금운용 여건이 녹록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런 운용 실적 및 내부 상황은 570조원에 달하는 국민 노후자금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하게 하며, 더 나아가 기관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신뢰도에도 의문을 갖게 한다.
(편집 유춘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