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가 1년 전에 비해 56만8000명 늘면서 고용률이 1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 ‘고용 참사’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데다 정부가 최근 재정 투입으로 노인 일자리를 크게 늘린 점이 고용률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이 반영되는 2월에는 고용 지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56만8000명 증가했다. 2014년 8월(59만4000명) 후 5년5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인 고용률은 60.0%로 1983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4.1%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는 코로나19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 첫 번째 한국인 확진자가 발생한 시기가 지난달 26일인데, 고용동향 조사는 매달 15일 전후로 1주일간 하기 때문이다.
고용지표 개선에는 지난해 1월 취업자 증가폭이 1만9000명에 그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정부가 만든 단기 노인 일자리가 영향을 미쳤다. 1월 60세 이상 취업자가 1년 전보다 50만7000명 늘면서 전체 증가 취업자 수의 89%를 차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정부가 단기 일자리 사업을 시작하는 시기를 올해부터 3월에서 1월로 앞당긴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연령대는 50대(6만2000명)였다. 반면 ‘경제 허리’인 40대 취업자는 8만4000명 줄어들면서 50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영 악화와 고용 부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450억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각각 250억원, 200억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을 낮은 금리로 빌려줄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과 관련해서는 “신종 코로나가 서비스업 등에 영향을 미쳐 고용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40대·제조업 고용 감소 대응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문 대통령 "고용연장, 본격적으로 검토 시작할 때 됐다"
정부 "올해 노인 일자리 74만개…작년보다 13만개 확대"
정부, 취업자 수 대신 고용률 내세운다는데…"불리한 지표 감...
지난해 취업자 30만1000명 증가…고용률 22년만에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