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가 9 까지 롱 외치다가 1년만에 저는 중립 포지션입니다. 오른 이유는 유럽 미국 천가수출 + esg 랑 맞물려서 인데, 유럽이 지금 안달나서 빨리 우크라 전쟁 끝내려고 하는거 보면 서방이랑 기조 대립할수도. 그래도 아직 불확실성이 있으니 4는 안보고 지금 기조로는 5~7 횡보 예상
젤린스키가 휴전 할거같지는 않음. 왜냐면 그러는 순간 젤린이는 천하의 노답 대통령이 되는거임 왜냐면 그동안 전쟁 터지고 조국 수호 프레임으로 이미지 메이킹을 해왔거든 그리고 자국민 그리고 군인들도 많이 죽고 땅도 뺏겼어 이미. 근데 여기서 휴전한다? 젤린이 입장에서 보면 탄핵감이지 지금 그리고 여론도 우크라이나 자국에서도 글케 좋지는 않아. 유럽이 휴전 하라고 하는게 뭐 사람 죽지 말라고 인도적인 차원에서 하는거 아니고 그냥 자원 문제같은 자국 이익에 대한 이슈 때문에 그런거지. 미국은 전쟁 스톱한다고 해서 얻는 이익 아무것도 없어. 그래서 지금 서방이랑 대립하는거고
이게 바닥이라고 보는건 위험함. 바닥은 최소한 금리인상 멈췄거나 어느정도 고금리에 도달 했을때 주워야지 이제 금리인상 올해 제대로 시작인데. 금리인상이 간단하게 말하면 애초에 금융쪽에 자산 빠지는거 충분히 감안한다는 입장이야. 미국 입장에서 비트도 경제 타격 안주면서 달라 소각 시키기 가장 좋은 수단이고. 뭐 지금 다우 이런거 전쟁 이런거 이유대면서 롱뷰 보는데 물론 잠깐 기술적 반등은 올수도 있고 아무도 모르고 그냥 하방 보는게 맞아. 사우디랑 뭐 제대로 얘기 될거같니 그것도 까보면 안될수도 있고 바이든이 싸지른게 많아서.. 여튼 올해는 선물하면 숏 포지션 위주로 사용하고, etf 는 숏 묻어두면 된다
ㅋㅋㅋㅋㅋㅋ 방구석 전문가임? 유가 곡물 지금 미국이 해결 어려운 부분중에 하나고, 그걸 떠나서 돈을 많이 뿌리면 돈 가치가 하락하는거 사실이고 반대로 회수를 해야하는데 거기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방법이 금리인상이지. 뭐 미국 관료들이 모르겠니 지금 문제는 금리인상 매번 간보고 늦게해서 기대인플레이션 올라가고 물가만 더 올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