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금은 절대하지 마삼.. 거의 사리 나와야 할 수준.... 한번 사면 나올수가 없음. 호가 밑장빼기가 기본 10틱임
0
2022년 3월 07일 04:04
팔라듐 반만 쫓아가라 이 등신백금아 ㅜㅜ
0
2022년 3월 07일 05:25
안돼 지금은 쫓아가지
0
2022년 3월 04일 14:23
드디어 빛을 보나
0
2022년 2월 21일 23:01
원자재 중에선 가장 좋아보이네 아래 뻘소리 무시 ㄲ
1
2022년 1월 19일 04:25
1000돌파 .' 경취
0
2021년 12월 21일 17:45
22년까지 공급과잉 예상. 현물이 선물보다 더 비싼 백워데이션 상태. 원자재 시장이 다같이 오를때는 상승폭이 제일 작고, 다같이 내릴때는 하락폭은 가장 클 것. 하지만 800이하로 떨어지면 백금 채굴 사업성이 없음. 백금 과도한 하락 → 사업성 없어 백금 생산 투자감소 → 생산량감소 → 가격상승...결론 : 오르면 매도잡고 떨어지면 매수. 적절한 포지션 전환해야 살아남음.
파월 재연임 연설에서 인플레이션 대응의지를 밝히면서 시장의 눈이 금리인상으로 완전 기울어져 버림. 미정부의 인플레 대응의지 등을 보았을때 당분간은 테이퍼링 속도와 금리인상이 자주 언급될 것으로 보이고 언급될 때마다 백금가격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줄것으로 보입니다. 챠트로는 1000 초반이 매수타이밍이긴 하나 1000 초반 매수후 만약 종가가 1000 아래로 간다면 손절하시길.
3
2021년 11월 21일 17:40
지난주 금요일 1040선은 지키지 못했고, 달러가 여기서 더 급등하면 1000초반까지 빠질수도 있다고 봅니다. 여기서 더 빠진다고한들 1000 근처가 바닥이 확률이 가장높고. 60일선 마지막 지지선이 1011이고 그동안 백금 챠트 경향을 보면 상승추세에서도 변동성으로 일봉 마지막 하단을 한번씩 터치하고 올라간적이 많기 때문에 1000 초반 가격이 오면 진입하기 아주 좋은 가격이라고 봅니다. 단 1000이하 종가마감시에는 무조건 손절 후 양봉 확인 후 재진입하는 것이 나아보입니다. 펀더만 보면 미국 인플레이션은 물론, 남아공 생산자물가지수 높고 미국 자동차 생산량 증가, 자동차 반도체 수급 개선 등 하락추세로 갈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단지 달러급등에 단기 약세인데 달러가 안정되면 다시 오를 것으로 봅니다.
4
2021년 11월 18일 13:41
1040~1050 매수타이밍으로 봄. 9월에 900 깨지고 이후 우상향 시작했고 고점대비 60~70정도는 한번씩 빠졌다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하락추세전환이 아니라 아직까진 조정이고 매수타이밍이라고 봄. 내년1~2월까지는 계속 우상향 할 것으로 보고 있고. 만약 종가가 1040이하로 마감할 경우 1000초반 가격까지 올수도 있으며 그땐 올인 타이밍이라고 봅니다. 물론 종가 1000이하가 될경우에는 칼손절하실수 있다는 조건하에..